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청년몰 성패, 지속적 사후관리가 열쇠

기사승인 2021.06.01  14:49:54

공유
default_news_ad1

청년몰은 노후화된 상점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을 것으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정부의 부진한 관리로 청년몰이 기대에 못 미치고 실패한 사업으로 남을 위기에 놓였다. 현재 청년몰 상황을 살펴보고 상권 부활을 위한 해결방안에 대해 알아보자.

   
 

청년 울리는 청년몰
  청년몰은 2016년부터 ‘청년몰 조성 사업’에 따라 마련된 청년 창업 공간이다. 39세 이하 청년 상인들을 대상으로 전통시장 내에 방치된 유휴 공간을 활용해 조성됐다. 청년몰은 볼거리와 커뮤니티 공간을 각 층 복합물로 조성해 젊은 고객 유입과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시작됐다. 청년몰에 입점하면 2년간 인테리어 비용, 임차료 지원과 창업·경영 컨설팅 교육이 제공된다. 청년몰 사업에는 지난해까지 534억 원이 투입됐다. 많은 예산이 투입된 것에 비해 현재 청년몰은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조사한 ‘전국 전통시장과 상가의 청년몰 현황’을 보면 지난 3월까지 청년몰은 전국 39곳의 672개 점포가 운영됐다. 현재 이 중 26%인 175개 점포가 폐업했다. 점포 4개 가운데 1개꼴로 문을 닫은 셈이다. 지난해 새로 문을 연 청년몰 4곳의 80개 점포를 제외하면 휴·폐업률은 더욱 높아진다. 특히 창업 후 2년 이상 생존하는 경우가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청년몰 사업의 실효성이 의심받고 있다.

사후관리 미흡한 청년몰… 청년 자립 위한 교육 필요
  청년몰의 상인들은 가장 큰 폐업 원인으로 부실한 사후관리를 꼽았다. 정부의 청년몰 조성 지원 기간은 2년이다. 기간이 끝나면 모든 지원이 끊기고 전문 인력도 현장에서 철수한다. 이후에는 청년몰 사업지침의 ‘지자체가 사업 결과물을 인수하고 사후관리 업무를 수행한다’는 조항에 따라 청년몰을 지자체에서 관리하게 된다. 그러므로 2년 후 청년몰은 지자체와 상인회의 의지와 예산에 따라 성패가 갈린다. 하지만 상인회와 지자체는 형평성을 이유로 청년몰을 특정해 구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또한 예산의 한계로 인해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상인들 사이에서는 개인역량을 키울 수 있는 사업도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청년몰에는 주로 장사를 처음 시작하는 청년들이 정부의 도움으로 자리를 잡기 위해 참여한다. 때문에 청년 상인의 전문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이 도입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진주 청년몰 황금상점을 5년째 운영중인 백대훈 전국청년상인네트워크 대표는 “청년몰이 쇠락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첫 번째로 청년들의 개인 역량 부족”이라며 “가게 운영에 필요한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라지는 청년몰, 탈바꿈하기 위한 정부 지원 필요해
  청년몰의 실패 원인은 부실한 사후관리라는 지적에 천안시의 청년몰 ‘흥흥발전소’는 발 빠르게 ‘혁신형 청년몰’로 리모델링해 성공적인 운영을 하고 있다. 과거 흥흥발전소는 지역 중심지가 다른 곳으로 옮겨지며 쇠퇴기를 겪었다. 게다가 기존에는 음식점 위주의 업종으로 다양성이 부족해 발길이 줄어들고 있었다. 하지만 현재 흥흥발전소는 리모델링한 공방이나 체험 카페 등 체험형 점포를 운영해 고객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체험 활동은 고객들의 체류 시간을 늘려 자연스럽게 음식점과 카페 이용까지 유도했다. 이를 통해 흥흥발전소 전체가 함께 살아날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천안시는 입점 초기 임대료 지원과 각 분야의 전문가 초빙을 통해 점포 운영에 관한 맞춤형 교육을 진행했다. 이러한 흥흥발전소의 성공 사례를 평택시·군산시에서 벤치마킹해 청년몰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국 푸드트럭, 착한 규제로 청년창업 자리 잡도록 도와
  우리나라에 청년몰이 있다면 미국에는 푸드트럭 거리가 있다. 우리나라는 청년몰 관련 지원과 규제가 미비하다. 반면 미국의 푸드트럭은 1970년대 이후부터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규제를 통해 꾸준히 발전했다. 현재 미국 내 푸드트럭은 4,000개가 넘는다.
  미국은 푸드트럭을 다양한 규제를 통해 단속하고 있다. 이러한 규제들은 후발 사업자들에게 좋은 진입 환경을 마련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판매 품목과 위생 규제가 있다. 미국에서 일정 지역 범위 내의 푸드트럭끼리는 유사한 상품을 판매할 수 없다. 이는 기존의 운영자를 보호하고 소비자들에게 식품의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미국은 특히 푸드트럭의 식품 위생과 관련해 여러 검사 과정을 거친다. 검사는 까다롭지만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어 상인들에게 도움이 된다. 미국의 푸드트럭 사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금전적인 지원은 적은 편이다. 하지만 다양한 규제를 통해 청년들이 창업 초반에 잘 적응하도록 했다. 미국의 푸드트럭 규제는 올바른 푸드트럭 운영을 할 수 있게 유도하는 효율적인 지원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예슬 기자, 김동환 수습기자 gc5994@daum.net

<저작권자 © 가천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